이 말이 처음 생겨난 곳은 그전에는 강원남도였다가 지금은 경상북도가 된 영주시 순흥면 소수서원 옆에 있는 ‘청다리’라는 곳이다. 순흥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취급되었던 지역으로 원래 고구려 땅이었다가 신라로 편입되었던 곳이다.
고구려 때에는 급벌산군이었다가 신라로 편입되면서 경덕왕 때에 급산군으로 고쳤다가 고려 때에 와서는 흥주로 되었고 고려말 조선초에 순정 혹은 순흥으로 되었다. 이러한 역사를 지니는 순흥은 영남지역의 문화 중심지로 자리를 해오면서 그 명성을 떨쳤는데, 북쪽에는 송악이 있고 남쪽에는 순흥이 있다고 할 정도로 큰 도시였으며 문화의 중심지였다.
비가 올 때도 비를 맞지 않고 처마밑으로 십리를 갈 수 있을 정도로 집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었다는 말은 순흥의 번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처럼 명성을 떨치던 순흥이 멸망의 길을 걸은 것은 세조 때의 일로 이곳으로 유배 온 금성대군이 순흥부사 이보흠과 함께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역모의 땅으로 지목되면서부터였다.
그로부터 수백 년이 흘렀건만 그 때의 아픔은 아직도 이 지역에 면면히 남아있는데, 금성단, 위리안치지지, 압각수, 경자바위, 피끈(끝) 등에 유적과 전설로 아로새겨져 있다. “다리 혹은 청다리 밑에서 아이를 주워왔다”는 말이 생겨난 것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과 깊은 관련이 있다.
소수서원은 1542년에 풍기군수 주세붕이 안향의 사묘를 세운 후 이듬해에 백운동 서원을 건립한 것이 시초였다. 그 후 1550년에 풍기 군수로 있던 퇴계 이황이 임금께 사액을 받아 소수서원이라고 하였으니 우리나라의 체계적인 사립대학은 여기에서 시작된 셈이다.
금성대군이 순흥부사 이보흠과 함께 모의하여 고을 군사와 선비를 모으고 삼남(三南) 유림들에게 격문을 돌려 단종 복위운동을 꾀하다 발각돼 죽임을 당하면서 당시 동조했던 이 지역 수백 명의 선비들과 그 가족들이 희생되었다(정축지변·1457년).
그 때 어렵사리 살아 남은 어린 아이들을 데려다 키운데서 “청다리 밑에서 주워 온 아이”라는 말이 생겼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는데 순흥의 선비들이 자식들만이라도 멸족의 화를 피하게 하려 아이들을 다리 밑에 내다버리면서 만들어진 말로 단종 복위 실패로 순흥도호부가 혁파될 때 군인들이 주민들을 살해하면서 살아남은 아이를 데려다 키우며 생부모를 몰라 청다리 밑에서 주워 왔다는 은유법을 사용했다고 한다.
사실 제월교(속칭 청다리)는 단종 복위사건으로 암울하고 참담했던 역사가 끝나고 훗날 선비들이 '개성 송도는 선죽교, 영주 순흥에는 제월교'라고 했듯이 충절이 배어 있는 다리로 기억돼 오고 있다.
그러나 청다리는 서원에서 공부하던 유생과 마을 처녀가 정분이 나서 낳은 아이를 다리 밑에 버린 것에서 유래됐다는 잘못된 사연이 전해지고 있다. 일제 강점기 제국주의자들이 식민지 통치에 걸림돌이 된 유림들을 없애고자 유생들이 연애하여 낳은 자식들이라고 왜곡시켰다고 한다.
왜곡된 이야기
최초의 사액서원이 성립되자 이때부터 전국의 선비들이 공부와 수양을 위해 이곳으로 모여들기 시작했고, 순흥은 다시 번성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소서서원에 공부를 하기 위해 전국에서 모여드는 선비들은 주로 젊은 학생들이었는데, 이들이 그 지역의 처녀들과 사랑을 나누면서부터 사회적인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남녀가 사랑을 하면 거의 필연적으로 생기는 문제가 바로 임신인데, 현대사회처럼 기술이 발달하지 못했던 시대인지라 아이를 가지면 낳을 수밖에 없는 형편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유교사회였던 조선조 사회에서 혼인하지 않은 처녀가 아이를 낳는다는 것은 보통 사건이 아니었으므로 당사자 집안에서는 비밀리에 이 일을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래서 그들이 고안해 낸 것이 바로 갓 태어난 아기를 강보에 싸서 한 밤중에 소수서원 옆에 있는 청다리 밑에 갖다 버리는 것이었다. 이렇게 하여 버려진 아이는 누군가가 데려가지 않으면 죽을 운명에 처하게 되는데, 이 소문이 점차 퍼져나가자 이번에는 아이를 갖지 못하는 사람들이 전국에서 구름처럼 몰려들었다고 한다.
그 당시 선비라면 최고의 신분이고 똑똑한 사람이기 때문에 그 핏줄을 데려가 기르는 것은 아이를 낳지 못하는 집안에서는 최고의 영광이 아닐 수 없었다. 이렇게 하여 전국에서 몰려든 아이 없는 사람들은 운이 좋으면 도착한 다음날 새벽에 아이를 얻어서 고향으로 돌아가고, 운이 나쁘면 몇 달씩을 기다려서 아이를 얻어가기도 했다고 한다.
이렇게 하여 전국으로 입양된 아이가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그런 소문이 전국적으로 퍼지고 지금도 그 말이 남아있을 정도인 것을 보면 상당수의 아이가 입양되었다고 보아 틀림이 없을 것이다. 이렇게 하여 생겨난 “청다리 밑에서 주워왔다”는 말은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변화를 거듭하여 현대에 들어와서는 해당 지역의 다리를 증거물로 하는 이야기로 탈바꿈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